강아지 골절 원인과 증상

강아지 골절은 어떤 질환인가?

골절은 몸을 구성하고 있는 뼈가 완전히 내지 불완전하게 부러져 버린 상태입니다. 비교적 큰 외력이 가해진 후에 앞다리와 뒷다리를 절게 되거나 매우 아파하게 됩니다. 강아지에서는 경척골 골절을 가장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척골이란 강아지의 앞발을 구성하는 척골과 척골로 이루어진 손목에서 팔꿈치에 걸친 긴 뼈를 말합니다.

 

강아지 골절의 원인과 증상

1979년의 강아지의 골절 284차례를 검증한 보고에서는, 교통사고가 204차례의 76.9%로 최다의 원인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어서 높은 곳에서 떨어졌다는 보고가 12.8%인 34차례, 무언가가 떨어지거나 문에 끼이는 것이 16차례에서 1.5%, 동물들끼리 싸우거나 교상사고 등이 2.3%인 6차례 순이었습니다. 이 결과를 통해 골절은 큰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외상성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밖에 친숙한 사례로 주인이 안아 올리고 있을 때, 그리고 식탁 같은 그다지 높지 않은 곳에 강아지를 싣고 있다가 방심하고 거기에서 뛰어내렸을 때 골절상을 입었다는 예가 의외로 많습니다.

 

강아지 골절의 원인 정리

  • 교통사고
  • 높은 곳으로부터의 낙하
  • 문에 끼이다
  • 동물끼리의 싸움

위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뼈에 생기는 '암'('골육종'이 가장 많음)으로 인해 뼈의 강도가 저하되어 골절될 수 있습니다. 이런 골절을 '병적 골절'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성장기의 강아지에게 고기만을 먹이면 몸속의 인이 많아지는 고인혈증이 되어 뼈에서 칼슘이 상실되고 골절이 쉽게 되는 영양성 골절도 드물지만 발생합니다.

 

어떤 강아지가 골절상을 입기 쉬운가?

젊고 작은 견종

강아지의 골절 2,385,508차례라는 방대한 차례를 검증한 역학조사에서는 약 80%의 차례가 3세 미만이었습니다. 즉, 비교적 젊은 강아지 중에 골절이 많다는 것입니다(1). 또한 2,385,508마리 중 1,203,203마리(50.4%)가 토이 견종 또는 소형 견종이었습니다. 이것은 비교적 작은 강아지 중에 골절이 많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특히 토이 푸들의 척골 골절은 10,000마리에 18.3마리로 매우 일어나기 쉬운 골절입니다.

  • 이탈리안 그레이하운드
  • 토이 푸들
  • 포메라니안
  • 살키
  • 보르조이

 

강아지 골절의 특징과 체크 항목

강아지의 골절 역학 조사에서는 전완부라는 손목에서 팔꿈치에 걸친 뼈인 경척골 골절이 가장 많고, 1만 마리에 7.2 마리의 확률로 발생합니다. 그다음이 정강이뼈인 정강이뼈 각 0.3마리, 이어서 허벅지 대퇴골 3.8마리, 두개골 2.3마리, 상완골 1.4마리, 골반과 등뼈 각 0.3마리, 견갑골이 가장 적습니다.

 

강아지 골절 부위 순위

  • 경척골
  • 정강이뼈
  • 대퇴골
  • 두개골
  • 상완골
  • 골반
  • 등뼈

이상으로 보아 강아지의 골절 중 경 척골 골절이 가장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뼈 표면에는 골막이라는 막이 있어요. 막에는 신경이 달리고 있어, 막이 찢어질 때 신경이 상해되기 때문에 골절은 매우 통증이 강한 것이 특징입니다.

 

강아지 골절의 특징

  • 앞다리나 뒷다리를 감싸게 되다
  • 부러진 다리는 통증이 아주 심하다

 

강아지 골절은 진단받는 방법

우선 강아지의 걸음걸이를 확인하고 체중을 실는 것에 기피 감이 보이는 다리를 특정합니다. 또한 촉진, 즉 만져서 부러진 부분을 특정 짓게 되는 것입니다.

확진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엑스레이 검사를 해야 합니다. 엑스레이 검사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부러져 있는 뼈를 한 방향으로만 엑스레이를 찍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엑스레이 이미지는 그림자 그림으로 겹쳐 있는 부분을 판단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놓치는 일이 없도록 반드시 정면과 옆에서 엑스레이 사진을 촬영하여 겹치는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반대쪽 발도 마찬가지로 촬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은 정상적인 형태를 파악하는 것으로, 치료할 때의 목표로 하기 위해서입니다.

 

 

강아지 골절 치료에는 어떤 방법이 있어?

강아지 골절의 치료와. 예방 골절은 비관혈적 정복법과 관혈적 정복법의 두 종류가 있습니다.

 

비관혈적 정복법

비관혈적 정복법이라고 하는 것은 골절을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전신 마취 아래에서 골절된 다리에 견인을 걸어 골절부를 연결하고, 정복합니다. 정복이 달성된 후에 깁스붕대나 부목으로 고정(외부 고정)을 유지합니다.

이 방법이 달성되면 자르지 않고 고칠 수 있기 때문에 이상적이고 많은 사람의 골절은 이 방법으로 치료됩니다. 특히 팔꿈치와 무릎보다 아래 부분에서 이 방법은 매우 효과적입니다.

깁스도 부목도 이 부위가 적용되기 쉽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강아지의 경우는 협력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또한 강아지는 아프지 않으면 돌아다니게 되어 수술 후 관리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은 별로 기대할 수 없습니다.

 

관혈적 정복법

관혈적 정복법은 많은 동물의 골절 증례에서 선택되는 방법입니다. 골절부를 절강 아지 하여 골절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맞추어 연결합니다. 그리고 정복된 상태를 여러 유형의 고정기구, 임플란트로 유지합니다(내 고정). 특히 불안정한 골절 또는 복잡골절, 시간이 지난 골절, 그리고 관절 표면에 골절이 들어가 있는 골절의 경우에는 시행해야 합니다.

특히 관절 내 골절은 맞물림이 나쁘면 연골이 잘 깎여 변형성 관절증이 불가역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제대로 맞출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관혈적 정복법이 필요합니다.

고정에 사용하는 임플란트는 플레이트 스크루(판과 나사), K와이어(철사), 창외 고정 등의 기구를 들 수 있습니다. 어떤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골절부에는 고정 강도를 웃도는 힘이 가해지면 파탄이 되어 버립니다.

따라서 고정 후에는 강아지에게 소파나 침대로 뛰어내리거나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플로어링 생활, 리드를 붙이지 않은 상태로 달리게 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또한 강아지의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을 피하기 위해 완전히 뼈가 붙을 때까지는 가능하면 케이지에 넣는 것이 좋습니다(특히 취침 시나 외출 시에 강아지를 혼자 두는 경우).

또한 뼈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뼈가 붙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뼈에는 힘이 가해지는 곳에 뼈가 형성된다는 성질이 있습니다(이를 'Wolff의 법칙'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고정 강도를 상회하지 않는 정도의 부하를 걸 목적으로 리드 제한한 상태에서 산책은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떻게 예방해야 돼?

  • 강아지를 높은 곳에 올리지 못하게 하다.

원인 항목에서도 말했듯이, 강아지의 골절은 높은 곳에서 떨어짐으로써 발생할 기회가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강아지를 안아 올릴 때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것, 또는 높은 곳에 오르게 하지 않도록 하여 골절의 원인부터 피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입니다.

또한 강아지가 자력으로 소파나 침대, 계단을 승강하는 것도 골절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가급적 그런 일을 하지 않도록 훈육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드물지만 고인식으로 골강도가 저하되어 골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강아지에게 영양 밸런스가 좋은 '종합 영양식'을 주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